본문 바로가기

개인 프로젝트/번아웃

긍정적인 자세를 가져야 하는 이유

긍정적인 자세를 가져야 하는 이유 

- '나는 잘 될거야', '이 시련이 끝나면 빛이 비출거야', '걱정하지마 괜찮아 질거야'


긍정적인 자세는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는 마음가짐을 말합니다. '잘 될거야', '이 시련이 끝나면 빛이 비출거야'와 같은 자세죠. 선천적으로 긍정적인 자세를 갖고 태어난 사람들은 아무런 근거없이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태어날 때부터 긍정적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무조건 잘 될것이라는 낙관적인 자세가 불안하고 위험해 보입니다. 당장 앞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는데 상황을 마냥 낙관적으로 보는 자세는 마음을 안일하게 만들고 안일한 마음가짐이 무계획적인 삶을 만들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여기서 한번 생각해 볼 것이 있습니다. '마냥 낙관적인 생각'이 단순히 근거가 없기 때문에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마냥 불안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아닌지입니다. 


마냥 낙관적인 자세가 불안하게 느껴진다면 우선 나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가를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예를들어 대학을 졸업하고 28살에 간신히 취업했지만 최저임금에 비정규직이라는 상황이고 이런 상황에서 이 사람이 마냥 낙관적인 생각은 불안하다 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 이 사람의 미래는 굉장히 불안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최저임금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것도 힘들고, 비정규직이라 미래도 보장받지도 못하고, 지금 나이에 다른 것에 도전하는 것은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동안의 시간이 아무 의미가 없는 시간처럼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결국 이 사람은 돈도 없고, 비전도 없고, 새로 도전하는 것은 두렵고 자신도 없게 될 것입니다. 자신은 딱히 잘하는 것도 없고, 이뤄놓은 것도 없고, 하고 싶은 것도 없는 사람이 되는 것이죠.


그런 상황에서 과연 이 사람이 새로운 것에 도전한다면 잘 해낼 수 있을까요?


만약 지금의 삶이 평생 그대로 이어진다면 이 사람은 자신이 예견한대로 돈도 없고, 비전도 없고, 도전이 두려운 사람으로 살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이 사람이 무언가를 시도한다면, 도전한다면, 공부한다면 변수가 생기는 겁니다. 그리고 그 변수가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나는 안 될거야', '나는 그동안 잘했던게 없었으니까', '나는 특출난게 없으니까'라는 생각이 드시나요? 그렇지만 지금 자신이 도전하려는 분야는 해보지 않은 분야입니다. 그래서 해보지 않고는 모릅니다. 


그저 '과거에', '세상의 기준'에서, '남들보다' 특출난 결과를 내지 못했으니까, 앞으로도 못할 것이라고 느껴질 뿐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근거는 과연 과학적인 근거인가요?


과학적이지도 않고 현실적이지도 않은 근거를 가지고 예측을 했기 때문에 '나는 안될거야'라는 잘못된 결론이 도출된 것입니다. 


왜냐하면 나의 부정적인 자세가 내가 했던 일들 중에서 '안 좋았던', '잘 못했던' 것들만 부각시켜서 기억해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초등학교 시절 글짓기 대회에 응모했지만 1등은 공부잘하는 우리반 반장이 됐고, 나는 참가하면 아무나 주는 장려상을 받았다고 생각해 봅시다. 


선생님의 칭찬과 반 친구들의 부러움은 모두 반장의 것이고, 나는 아무도 인정해주지 않는 부끄러운 장려상만 받았다고 생각한다면 나는 글쓰기에 재능이 없는 혹은 글쓰는 것이 창피한 사람으로 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사람은 미래를 설계할 때 글쓰기를 미래계획에 포함시킬까요? 아닐겁니다. 


만약 이 사람이 장려상밖에 못 받았지만 가족과 친구들이 이 사람을 축하하면서 장려상 받은 것에 칭찬과 격려를 해주었다면 이 사람은 글쓰기에 더 노력을 했을겁니다, 글쓰기를 직업으로 가지게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글쓰기에 관심과 재미가 있었기 때문에 글짓기 대회에 응모를 한 것이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긍정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긍정적인 자세는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게 하는 칭찬과 격려입니다. 긍정적인 자세는 희망을 갖게 해주기 때문에 삶의 열정과 하고자하는 의지를 만들어줍니다.


만약 자신이 긍정적인 사람이 아니라면, 혹은 긍정적이었으나 어느 순간 부정적이고 신경질적이 되었다면 먼저 자신의 목표를 되돌아봐야 합니다.


지금 자신의 목표가 '더 열심히' 혹은 '더 많이', '행복하게'는 아닌지.


이런 목표를 가지고 있다면 목표를 수정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더 열심히', '더 많이', '행복하게'는 측정할 수 없는 목표들이기 때문입니다.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은 아무리 노력을 해도, 어떤 성과를 거두어도 만족할 수 없다는 뜻이고,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은 행복하거나 긍정적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상이 만들어 놓은 기준을 '평균' 혹은 '최저점'으로 잡지말고, 세상을 사는 나만의 기준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가진 능력, 장/단점, 나의 생체리듬(나는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약 20분이고, 20분 집중 10분 휴식을 하면 최대 5시간까지 효율적으로 집중할 수 있다, 나는 수면시간이 최소 9시간이 되어야 활력이 생기고 중간에 낮잠을 30분정도 자주면 더 활기있게 하루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것 등 나를 자세히 관찰하고 나와 계속 대화해 봐야합니다. 


그렇게 관찰한 나의 리듬과 패턴을 바탕으로 인생의 목표와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나만의 기준을 만들어 살아간다면 내가 천재가 아니라도, 내가 부자가 아니더라도 긍정적인 자세를 갖고 행복을 추구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